카테고리 없음

간호조무사 시험방식, 과목, 일정

mizimode 2025. 3. 25. 11:11



2025년부터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이 기존의 지필 방식에서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CBT(Computer Based Test) 방식이란?
CBT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험을 보는 방식으로, 응시자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문제를 풀고 답안을 입력합니다. CBT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컴퓨터를 이용한 시험: 응시자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문제를 풀고 답안을 입력합니다.
* 문제 은행 방식: 문제는 문제 은행에서 무작위로 출제됩니다.
* 즉시 채점 및 결과 확인: 시험 종료 후 즉시 채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BT 방식의 장점
* 시험 운영의 효율성 증대: 시험지 인쇄, 배송, 채점 등의 과정이 생략되어 시험 운영의 효율성이 증대됩니다.
* 응시자의 편의성 향상: 응시자는 익숙한 컴퓨터 환경에서 시험을 볼 수 있으며, 시험 결과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정한 시험 환경 조성: 문제 은행 방식은 문제 유출 및 부정행위 가능성을 줄여 공정한 시험 환경을 조성합니다.
CBT 방식의 도입 배경
CBT 방식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국가시험에서 도입되고 있습니다. 간호조무사 국가시험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CBT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5년 간호조무사 시험을 준비하는 응시자는 CBT 방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습을 통해 시험에 대비해야 합니다.

간호조무사 시험 과목
간호조무사 시험은 총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과목별 문항 수와 배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간호학 개요 (35문항): 치의학 기초개론 및 한의학 기초개론을 포함합니다.
* 보건간호학 개요 (15문항)
* 공중보건학 개론 (20문항)
* 실기 (35문항)
총 105문항이며, 각 문항당 1점입니다. 시험은 객관식 5지 선다형으로 진행됩니다.
과락 기준
각 과목별로 40% 미만 득점 시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 기초간호학 개요: 14문제 미만
* 보건간호학 개요: 6문제 미만
* 공중보건학 개론: 8문제 미만
* 실기: 14문제 미만
합격 기준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입니다. 즉, 105문제 중 63문제 이상을 맞춰야 합니다.